AI 정복기/Prompt Engineering - 어떻게 말하지?

제약이 창의성을 만든다 – Constraints Prompting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문노베 2025. 3. 25.

제약이 창의성을 만든다 – Constraints Prompting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짧게 말해줘", "300자 이내로 부탁해", "친근한 말투로 써줘" — 이 간단한 한 줄이 AI의 결과물을 완전히 바꿉니다.

 

제약이 창의성을 만든다 – Constraints Prompting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안녕하세요! 문노베입니다.

 

AI를 쓰면서 정말 자주 들었던 말이 있어요. “이거, 너무 길어...”, “왜 이렇게 딱딱해?”, “진짜 사람이 쓴 것 같지가 않네.” 한마디로, 내용은 맞는데 톤이 안 맞고, 길이도 안 맞는 답변이 AI로부터 쏟아졌던 거죠.

 

그러다 어느 순간 깨달았어요. “내가 원하는 범위와 스타일을 안 알려줬구나” 하고요.

 

그때부터 저는 프롬프트에 '제한조건'을 넣기 시작했고, 그 효과는 정말 놀라웠습니다.

 

오늘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세 번째 기법, Constraints Prompting—제약을 걸어주는 방식에 대해 실전 예시, 저의 경험, 그리고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제약은 창의성을 제한하는 게 아니라, 날카롭게 다듬어주는 도구라는 걸 꼭 보여드릴게요!

Constraints Prompting이란?

Constraints Prompting이란 AI에게 분량, 문체, 형식, 금지사항 등의 제한조건을 명시하는 프롬프트 설계 기법을 말해요.

 

예를 들어, “300자 이내로 요약해 줘”, “문장 끝마다 느낌표 넣지 마”, “공식적인 말투로 써줘” 같은 조건들이 여기에 해당되죠.

 

Role Prompting이 AI에게 ‘누구처럼 말하라’고 설정해 주는 기술이라면, Constraints Prompting은 ‘어떻게 말하라’를 구체적으로 규정짓는 기술이에요.

 

일종의 스타일 디렉션이죠. 이 기법은 AI의 창의성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과잉생성(over-generation)을 방지하고 정돈된 출력물을 받기 위한 핵심 전략이에요.

 

특히 GPT 모델은 출력 제약을 명시하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장황한 설명을 하거나, 같은 내용을 반복하거나, 특정 표현을 과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건 모델의 한계가 아니라, 프롬프트 설계자의 책임입니다. 우리가 조건을 안 줬기 때문이죠.

 

실제로 OpenAI가 공개한 “Best Practices for Prompting GPT-4” 문서에서는 "Be specific about the length, tone, and formatting of the output" (출력물의 길이, 톤, 형식을 명시하라)고 권고하고 있어요.

 

그리고 이 기법은 단순히 ‘보기 좋게 다듬는다’의 개념을 넘어서 생성형 AI의 출력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기준선 역할을 합니다.

 

정리하자면, Constraints Prompting은 “AI에게 맘대로 하지 말고, 이 선 안에서 잘해줘”라고 알려주는 설계 기술이에요.

 

그리고 그 선은, 결국 콘텐츠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2025.03.24 - [AI 정복기/Prompt Engineering - 어떻게 말하지?] - AI에게 구조를 알려주면 달라집니다 – Structured Prompting 예시로 배우기(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에게 구조를 알려주면 달라집니다 – Structured Prompting 예시로 배우기

AI에게 구조를 알려주면 달라집니다 – Structured Prompting 예시로 배우기“AI가 틀린 말은 안 하는데... 왜 이렇게 중구난방이지?” 그건 AI가 ‘무엇을 말해야 할지’는 아는데, ‘어떻게 말해야 할

nobe-moon.tistory.com

 

제약이 만든 변화 – 실전 Before & After

프롬프트에 제약을 걸어주는 게 뭐 그리 대단하겠냐 싶지만, 제가 겪은 바로는 이 작은 한 줄이 콘텐츠 품질을 좌우했습니다.

 

특히 보고서 요약, 마케팅 문구, 이메일 초안처럼 톤과 길이가 중요한 작업일수록 Constraints Prompting의 효과는 극대화돼요.

 

실제 사례로 한번 비교해볼게요.

 

아래는 제가 사내 마케팅 교육자료에 넣을 콘텐츠를 생성할 때 실제로 사용한 프롬프트입니다. 단순 요청과 제약 조건을 함께 준 버전의 차이는 명확했어요.

버전 프롬프트 예시 AI 응답 특징
❌ 일반 프롬프트 "마케팅 자동화의 장점을 설명해줘." 장점이 5개 이상 나열되며 장황함. 불필요한 서론과 결론 반복. 초안 정제에 시간 소요.
✅ Constraints Prompting "마케팅 자동화의 장점을 300자 이내로 3가지로 요약해줘. 짧고 명확한 문장으로 정리하고, 딱딱한 어투는 피해주세요." 문장 개수와 길이가 통제됨. 핵심 3개로 압축. 유려한 표현 사용. 바로 복사해서 사용 가능.

이 차이를 겪고 나서 저는 모든 프롬프트에 최소 1개 이상의 제한조건을 반드시 넣어요.

 

요즘엔 아래 3가지를 거의 습관처럼 명시합니다:

  • 1. 길이: (예: 300자 이내, 문단 하나로 요약, 3줄로만)
  • 2. 어조/톤: (예: 친근한 말투, 보고서 스타일, 광고 문구 느낌으로)
  • 3. 금지사항: (예: “이 글은 ~입니다” 형식은 사용하지 마세요, 반복 표현 피하기)

이 작은 설정만으로도 수정할 필요 없는 결과물을 받을 수 있고, AI가 더 명확한 목적을 이해하게 됩니다.

 

마치 “이건 15초짜리 릴스야!”라고 기획 단계에서 방향을 잡아주는 것과 비슷하죠.

실무에서 자주 쓰는 제약 프롬프트 3종 포맷

Constraints Prompting은 막연하게 “간결하게 써줘”만 해서는 효과가 떨어져요.

 

프롬프트 안에 길이, 형식, 말투, 금지 요소를 분명하게 정리해줘야 AI가 정확히 반응합니다.

 

제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세 가지 제약 포맷을 소개할게요. 각각의 예시는 실제 업무에서 활용한 방식입니다.

① 마케팅 콘텐츠 요약용

프롬프트 예시:
“다음 마케팅 보고서를 300자 이내로 요약해 줘. 문장은 3개 이내로 구성하고, 숫자를 활용해 객관적인 인상을 주되 딱딱한 말투는 피해 주세요.”

💡 활용 팁: ‘분량 + 문장 수 + 톤 + 요소’까지 조합하면 완성도 있는 콘텐츠 요약 가능!

② SNS용 문장 제약

프롬프트 예시:
“20~30대 여성을 위한 친환경 제품 광고 문구를 2줄 이내로 작성해 주세요. 해시태그는 포함하지 말고, 밝고 경쾌한 톤을 유지해 주세요.”

💡 활용 팁: SNS는 문자 수 제약이 있는 채널이라 제약 설정이 필수! 줄 수, 형식, 해시태그 유무 등 명확히 써줘야 함.

③ 보고서 문체 컨트롤

프롬프트 예시:
“다음 내용을 1페이지 분량의 보고서 본문 형식으로 작성해 주세요. 첫 문장은 반드시 결론으로 시작하고, 불필요한 수식어는 삭제해 주세요. 문장당 20 단어를 넘기지 말아 주세요.”

💡 활용 팁: ‘결론부터 말하기’, ‘문장 길이’, ‘형식적 조건’은 문서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

사용 목적 권장 제약 요소 효과
마케팅 요약 글자 수 제한, 문장 수 제한, 톤 지정 핵심 정보 중심의 간결한 콘텐츠 생성
SNS 문구 2줄 이내, 해시태그 제한, 캐주얼 톤 플랫폼 최적화 + 브랜드 어조 일관성 유지
보고서 작성 문장 길이 제한, 수식어 금지, 결론 우선 가독성과 설득력을 높이는 문서 구성

 

AI에게 창의적인 결과를 요구하고 싶다면, 반드시 제한된 캔버스를 줘야 합니다.

 

디자이너가 무한한 캔버스보다 A4 사이즈에서 더 뾰족한 결과를 만들 듯, Constraints Prompting은 AI의 품질을 높이는 촘촘한 프레임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

Q. 제약을 너무 많이 걸면 AI가 답을 잘 못하지 않나요?
오히려 반대예요. 잘 짜인 제약은 AI의 사고 방향을 명확히 만들어줘서 결과가 더 안정되고 설득력 있게 나옵니다. 단, 제약은 명확하고 목적에 맞게!

 

Q. 글자 수나 줄 수는 대략적으로 줘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구체적으로 명시할수록 더 정확한 결과가 나와요. “300자 이내”와 “한 문단으로 요약”은 AI에게 서로 다른 지시입니다.

 

Q. Constraints Prompting은 어떤 작업에 가장 효과적일까요?
보고서 요약, 뉴스 헤드라인 작성, 광고 카피 제작, 이력서 문장 정리 등 ‘압축 + 정확성’이 필요한 모든 업무에 유효합니다.

 

Q. Role Prompting, Structured Prompting과 함께 써도 되나요?
베스트 조합입니다. “당신은 마케팅 전략가입니다. 아래 구조와 조건을 따라 SNS 광고 문구를 작성해 주세요.” 이 한 문장에 3가지 기법이 모두 담겨 있죠.

마무리 및 다음 글 예고

Constraints Prompting, 이 짧고 간단한 기법 하나로 AI와의 협업이 훨씬 더 정제되고 예측 가능해졌다는 걸 직접 느끼셨을 거예요.

 

문장 하나를 200자 안에, 말투는 유쾌하게, 핵심은 3가지만 — 이 세 줄이 AI를 단순한 텍스트 생성기가 아니라 생산성 파트너로 바꿔주는 힘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 중 하나인 Goal-based Prompting, 즉 목적 중심 프롬프트 설계 기법을 다룹니다.

 

“무엇을 위해 이 글을 쓰는가?”를 명확히 하면 AI의 응답은 더 이상 ‘그럴싸한 말’이 아니라 비즈니스에 바로 쓰이는 정답이 됩니다. 곧 만나요! 😊

 

2025.03.25 - [AI 정복기/Prompt Engineering - 어떻게 말하지?] - Goal-based Prompting - 목적이 명확하면, AI는 정답에 가까워진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Goal-based Prompting - 목적이 명확하면, AI는 정답에 가까워진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Goal-based Prompting - 목적이 명확하면, AI는 정답에 가까워진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건 잘 썼는데, 내가 원하던 건 아니야…”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그건 AI가 틀린 게 아니라, 우리가

nobe-moo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