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D 시험, 준비 전에 꼭 알아야 할 5가지 (데이터분석 기초, 마케터를 위한 SQL)
그냥 무작정 교재부터 펴지 마세요. 저처럼 한 번 실패해 본 사람은 압니다. 시험 전에 꼭 알아야 할 게 있다는 걸요.
안녕하세요, 문노베입니다. SQLD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 저는 '이걸 그냥 외우면 되겠지'라고 생각했어요.
결과요? 시험 한 번 떨어졌습니다. 😅 그래서 두 번째 도전은 다르게 접근했어요.
이 자격증이 어떤 시험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나에게 필요한 전략을 세운 것부터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SQLD 시험 전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를 공유할게요. 이걸 먼저 알고 시작하면, 정말 다르게 보일 거예요.
목차
1. 시험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을까?
SQLD 시험은 총 2과목, 객관식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에요.
시험 시간은 70분이고요, 컴퓨터 CBT 방식(모니터 보며 응시)으로 진행됩니다.
과목명 | 출제 비율 | 비고 |
---|---|---|
데이터 모델링 | 40% | 개체-관계, 정규화 등 이론 중심 |
SQL 활용 | 60% | 문제 풀이와 쿼리 해석 중심 |
즉, 실제로 SQL을 어느 정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말이죠. 단순 암기형이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2. 최근 출제 경향을 보면 전략이 보인다
2023~2024년 기출 트렌드를 보면 알 수 있어요. '개념 암기만으로는 점수가 안 나옵니다.'
시험에는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가 많고, 단순히 키워드 암기가 아니라, 상황형 문제와 쿼리 해석 문제가 주로 나와요.
- ER 모델: 속성, 관계, 식별자 구분하는 응용문제
- 정규화: 1NF~3NF 구분하는 사례형 문제
- SQL: 주어진 테이블을 보고 결과 예측하는 문제
- 실행계획: 성능 최적화 개념을 해석하는 문제
그래서 저는 개념을 예시와 함께 ‘내 언어로 설명할 수 있게 만드는 훈련’이 제일 중요하다고 느꼈어요.
3. 많이들 오해하는 공부법
시험이라고 하면 ‘요약본’ 만들고, ‘단어 외우기’부터 시작하는 분들 많죠? 근데 SQLD는 그 방식으론 위험해요.
특히 정규화와 ER 모델은 암기로는 절대 안 됩니다.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
- 개념을 ‘말로 설명’해본다 (나 자신에게 말하듯!)
-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그냥 넘기지 말고 직접 예시 만들어 보기
- 쿼리는 눈으로 읽는 게 아니라 직접 타이핑해서 쳐봐야 기억에 남음
이 방식으로 바꾸고 나서야, 제가 진짜 SQLD를 ‘공부’하고 있었구나 싶더라고요.
4. 어떤 교재와 사이트를 보면 좋을까?
비전공자라면 단순히 정보량 많은 교재보다는, 이해 중심으로 잘 풀어주는 교재를 선택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제가 선택한 책은 바로 아이리포의 'SQLD 모든 것'인데요, 초반 입문자에게 정말 추천드려요.
자료명 | 특징 | 추천도 |
---|---|---|
SQLD 모든 것 (아이리포) | 예제 중심, 이론-실습 비율 균형 좋음 | ★★★★★ |
데이터자격증.kr | 공식 주관처, 시험 접수 및 가이드 제공 | ★★★★☆ |
기출 문제 모음 블로그들 | 최근 유형 파악 가능 (단, 정답 검토 주의) | ★★★☆☆ |
그리고 하나 더! ChatGPT도 SQL 연습용으로 꽤 유용해요.
“아래 쿼리 틀렸나요?”, “이 결과가 왜 이렇게 나오는 거죠?” 같이 물어보면 꽤 잘 알려줘요.
5. 처음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태도
끝으로, 제가 느낀 SQLD 독학의 핵심 태도를 몇 가지 정리해 볼게요. 이건 진짜 공부법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처음엔 이해 안 돼도 괜찮아” – 반복하며 보자
- “적어도 하루에 15분은 손을 움직이자” – 개념 정리보다 실습
- “쓸 수 있는 예제를 만들자” – 눈으로만 보지 말고 타이핑
- “내가 왜 이걸 배우는지 계속 떠올리자” – 동기 유지 중요!
SQLD는 단기간에 끝내기보단, 데이터와 친해지는 과정으로 접근하는 게 훨씬 오래갑니다.
SQLD 시험 전 자주 묻는 질문들
SQL을 한 번도 안 해봤는데 바로 SQLD 공부해도 될까요?
충분히 가능합니다. 단, 개념을 건너뛰지 말고 꼭 기초부터 차근히 다지는 게 중요해요. SELECT, FROM, WHERE 같은 기본 구조를 익히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문과생인데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저도 문과 출신입니다. 처음에는 용어가 낯설지만, 데이터 자체에 대한 개념과 비유를 통해 접근하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어요.
기출문제만 풀어도 합격할 수 있나요?
최근 시험은 단순 암기형보다 이해형 문항이 많아졌어요. 기출은 방향을 잡는 데 좋지만, 개념을 모르면 헷갈리기 쉬워요. 이해 + 기출 조합이 정답입니다.
시험 일정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매년 상·하반기 일정을 공지합니다. 보통 상반기(5~6월), 하반기(10~11월) 중 진행돼요.
독학으로 준비하면 얼마나 걸릴까요?
하루 1시간씩 투자하면 평균 4~6주 내에 기본기를 다지고 실전 문제에 들어갈 수 있어요. 다만 직장인의 경우 주말 집중학습도 고려해 보세요.
SQLD 자격증을 따면 어디에 도움이 되나요?
기획, 마케팅, 영업에서도 데이터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특히 실무 회의나 보고서에서 더 정확하고 근거 있는 의견을 낼 수 있어요.
SQLD는 단순한 자격증이 아니라, 데이터와의 대화법을 익히는 첫 관문이에요.
무작정 시작하기보다 시험 구조, 경향, 공부법을 미리 파악해 두면 훨씬 덜 지치고, 방향이 명확해집니다.
이번 글을 읽으셨다면, 여러분은 이미 첫 단추를 잘 끼운 거예요.
다음부터는 드디어 본격적으로 교재를 따라가며 개념→예제→실전 순서로 학습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된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들었다면, 우리 잘 맞는 거예요.
앞으로도 문노베와 함께, SQLD 정복 여정을 같이 걸어봐요.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자격증 정복기 > SQLD - SQL Developer가 되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체-관계 모델,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다! (ERD, 엔터티, SQLD 독학, 데이터분석 기초) (0) | 2025.05.01 |
---|---|
SQL? DB? SELECT? … 이게 다 뭐야? 핵심만 알고가자! (데이터베이스 공부, SQLD 독학) (1) | 2025.04.30 |
마케터인 내가, SQLD 자격증은 대체 왜 따야 할까? (데이터분석 기초, SQL 독학) (0) | 2025.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