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정복기/국내외 AI 기업 소개

xAI 완전 분석: 일론 머스크의 AI, Grok은 ChatGPT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까?

문노베 2025. 5. 1.

xAI 완전 분석: 일론 머스크의 AI, Grok은 ChatGPT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까?

“Grok, 이제는 웹에서도 쓸 수 있어요.” 2025년, 일론 머스크의 AI 기업 xAI가 야심차게 선보인 Grok-3. 트위터 안의 장난감이 아닌, 진짜로 GPT와 경쟁하는 ‘웹 기반 AI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xAI 완전 분석: 일론 머스크의 AI, Grok은 ChatGPT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문과 출신 마케터 문노베입니다.

 

오늘은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기업 xAI와, 그들이 만든 언어모델 Grok 시리즈에 대해 파헤쳐 보려고 해요.

 

그냥 또 하나의 챗봇이 아니라, 정말로 LLM 전쟁에서 철학이 다른 방식으로 도전하고 있는 존재거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rok-3가 어떤 모델인지, 어떻게 쓸 수 있고, 어떤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문노베의 시선으로, 기술과 철학을 함께 풀어볼게요.

1. xAI란 어떤 회사인가?

xAI는 2023년 7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 스타트업이에요.

 

슬로건은 단순하면서도 야심차죠 –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

 

OpenAI 이사직에서 물러난 이후, 머스크는 '윤리적으로 통제 가능한 AI'를 만들겠다며 독자 노선을 걷기 시작했어요.

 

xAI는 테슬라, 딥마인드, OpenAI, 구글 브레인,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AI 연구소 출신들이 합류한 팀으로, 현재는 Grok 시리즈를 중심으로 언어모델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상태예요.

 

LLM 시장의 질서가 굳어지던 시점에 나타난 '이단아' – 저는 그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2025.04.22 - [AI 정복기/국내외 AI 기업 소개] - 업스테이지 완전 분석: Solar LLM부터 문서 AI까지, 한국형 생성형 AI의 가능성

 

업스테이지 완전 분석: Solar LLM부터 문서 AI까지, 한국형 생성형 AI의 가능성

업스테이지 완전 분석: Solar LLM부터 문서 AI까지, 한국형 생성형 AI의 가능성GPT는 미국 거잖아요. 그럼 우리는요? 2025년, 한국에서도 '우리 손으로 만든 LLM'이 글로벌 경쟁을 꿈꾸며 모습을 드러내

nobe-moon.tistory.com

 

2. Grok-3의 핵심 기술과 차별점

Grok-3는 2025년 2월에 정식 공개된 최신 버전이에요.

 

기존 Grok-1이 314B 파라미터(공개 모델 기준)였다면, Grok-3는 훨씬 확장된 아키텍처와 성능을 바탕으로 재정비되었죠.

 

특히 수학, 물리, 코딩, 추론 영역에서 GPT-4와 Claude 3에 근접하거나 초월하는 결과를 일부 벤치마크에서 보여주고 있어요.

Grok-3 특징 내용
고속 추론 능력 Big Bench Hard, MATH 등에서 GPT-4 수준 이상 결과
대화 스타일 반항적 유머와 직설 화법, GPT 대비 감성적 필터 약함
X와 실시간 연결 트렌드 반영형 응답 제공 가능 (X API 통합)

 

제 느낌으로는, 이건 단순한 언어모델이 아니라 “일론 머스크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LLM 안에 담으려는 시도” 같았어요.

 

실제로도 Grok은 철저히 ‘개인의 세계관’이 반영된 챗봇이에요.

3. Big Brain, DeepSearch, 이미지 생성 기능

Grok-3에는 단순 텍스트 생성 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됐어요.

 

가장 주목받는 건 Big Brain 모드DeepSearch, 그리고 이미지 생성·편집 기능입니다.

  • Big Brain: 다중 단계 논리 전개, 조건 설정, 수리 계산을 포함한 고차원 추론 모드
  • DeepSearch: 브라우저 기반 검색형 응답 기능. 웹에서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정리 응답 제공
  • 이미지 생성: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및 수정 가능. Sora나 Runway보다는 경량화된 스타일

이 기능들을 보면, Grok은 점점 Perplexity의 검색성 + GPT의 대화력 + Midjourney의 생성성을 모두 흡수하려는 ‘하이브리드 챗봇’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인상을 줘요.

 

저는 이걸 보며 느꼈어요. Grok은 기술보다 태도에서 다르다.

 

“모든 것을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는, 일론 머스크식 불친절이 오히려 사용자를 더 생각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걸요.

 

4. Grok의 사용 방식과 웹버전 안내

처음엔 X(트위터)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Grok은, 2025년 1분기부터는 웹사이트(grok.x.ai)를 통해 독립적인 사용도 가능해졌어요.

 

트위터 프리미엄 구독자 외에도 이제는 별도 계정 기반으로도 접근할 수 있어요.

이용 방법 설명
X 프리미엄+ 구독자 X(트위터) 내 Grok 탭에서 직접 사용 가능
웹버전 사용자 https://grok.x.ai 접속 → 계정 생성 후 사용
SuperGrok 요금제 Big Brain, DeepSearch, 이미지 기능 포함 고급 플랜

 

이 웹버전 확장이 매우 전략적이라고 봐요. X 플랫폼 기반 AI라는 인식에서, ‘독립적 AI 서비스’로 포지셔닝을 전환한 계기였으니까요.

5. 정치적 편향과 논란 – AI가 중립적일 수 있을까?

Grok은 다른 챗봇보다 '직설적이고 솔직한 AI'를 지향하지만, 그만큼 정치적 편향성과 검열 이슈도 자주 거론돼요.

 

특정 뉴스 소스를 배제하거나, 특정 이슈에 대해 선택적 응답을 한다는 지적도 있었죠.

  • 2024년 말 뉴스 필터링 기능 관련 논란
  • 내부 직원 설정 오류 해명 → 사용자 불신 확대
  • 일론 머스크 본인의 정치 성향과 AI 응답 일치 의혹

머스크는 “Grok은 진실을 말하는 AI”라고 주장하지만, 그 ‘진실’은 누가 정의한 진실인가?라는 질문을 남겨요.

 

문노베는 이 논쟁을 통해, AI의 ‘정확성’보다 ‘중립성’이 훨씬 더 복잡한 이슈라는 걸 다시금 느꼈어요.

6. 문노베 인사이트: 머스크 AI의 의미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는 지금, 기능은 유사하지만 철학은 극단적으로 다른 AI 모델들이 공존하는 시대에 살고 있어요.

 

GPT는 정확성과 안전, Claude는 온화함과 정서적 안정, 그리고 Grok은 반골적 시선과 날카로운 유머를 선택했어요.

 

문노베는 이걸 ‘AI도 세계관을 갖는다’는 신호라고 생각해요.

 

언젠가는 우리가 챗봇을 고를 때, 스펙이 아니라 ‘사고방식’을 기준으로 선택하게 될지도 모르죠.

 

그렇다면 Grok은, 아주 분명한 성격을 가진 AI예요.

Grok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Grok은 무료로 쓸 수 있나요?

기본 버전은 X Premium+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Grok 웹버전도 별도 계정 생성 후 일부 기능은 무료로 체험할 수 있어요. 고급 기능은 유료 구독 필요해요.

 

Q2. 한국어로도 잘 작동하나요?

기본적인 한국어 사용은 가능하지만, 영어 기반 훈련 비중이 높기 때문에 추론·창의 응답 품질은 영어에 비해 떨어질 수 있어요.

 

Q3. Grok과 GPT의 가장 큰 차이는 뭔가요?

대화 스타일이에요. GPT는 신중하고 중립적인 반면, Grok은 유머, 반응성, 직설성에 초점을 둔 캐릭터형 AI예요.

 

Q4. Grok으로 코드도 짤 수 있나요?

네. Grok-3는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등 주요 언어 기반의 코드 생성·디버깅이 가능하며, Big Brain 모드에서 수리/로직 추론까지 강화됐어요.

 

Q5. X에 가입하지 않아도 Grok을 쓸 수 있나요?

2025년부터는 가능해졌어요. grok.x.ai에서 이메일 기반 계정을 만들고 웹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어요.

 

Q6. Grok이 정말 GPT를 이길 수 있을까요?

기술 스펙 일부는 우위지만, 생태계/접근성/신뢰성 면에선 아직 GPT가 우세해요. Grok은 '다른 캐릭터의 AI'라는 차별성에 강점이 있어요.

 

AI는 이제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와 대화하는 ‘존재’가 되어가고 있어요.

 

GPT, Claude, Gemini가 비슷한 틀 안에서 경쟁하는 사이, Grok은 전혀 다른 정체성과 태도로 파고들고 있죠.

 

문노베는 Grok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걸 떠나, 이 AI가 ‘세계관을 가진 언어모델’이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곧 우리는 AI를 ‘기능’보다 ‘성격’으로 고르는 시대에 들어설지도 몰라요.

 

이 글이 그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구독은 언제든 큰 힘이 됩니다 :)

 

2025.04.22 - [AI 정복기/국내외 AI 기업 소개] - Runway 완전 분석: Gen-3 Alpha부터 Gen-4까지, 영상 AI의 진짜 미래

 

Runway 완전 분석: Gen-3 Alpha부터 Gen-4까지, 영상 AI의 진짜 미래

Runway 완전 분석: Gen-3 Alpha부터 Gen-4까지, 영상 AI의 진짜 미래2025년, 생성형 AI의 가장 눈부신 진화의 한복판엔 Runway가 있죠. OpenAI의 Sora보다 먼저 상용화를 이룬 영상 생성 플랫폼. 최근엔 Gen-3 Alpha

nobe-moo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