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이미지 생성이 지겹다면? Sora를 사용해보세요! Sora vs ChatGPT 완벽비교
영상 제작 AI로 알려진 Sora, 사실 이미지 생성도 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문노베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Sora는 AI 기반 영상 제작 도구로 유명하죠.
그런데 알고 보면 이미지 생성 기능도 오랫동안 제공하고 있던 거 아세요?
오늘은 이미지 생성 AI로 유명한 ChatGPT와 Sora가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동영상 AI 'Sora'가 제공하는 이미지 생성 기능
Sora는 OpenAI가 개발한 텍스트 기반 영상 생성 AI로,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최대 1분 길이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이 영상 생성 능력은 이미지 생성 능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Sora의 내부 시스템은 사실상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생성 → 연속 프레임 구성으로 동영상을 완성하는 방식이죠.
즉, Sora도 이미지 생성이 된다기보다는, 이미지 생성 기술을 고도화해 '움직이는 이미지'로 확장한 형태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합니다.
그래서 현재까지 Sora는 단독 이미지 생성을 지원하진 않지만, 그 기술적 기반은 고해상도·고정밀 이미지 생성 AI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ChatGPT 이미지 생성의 과부하 이슈로, 현재는 Sora 신규 유저의 동영상 생성은 중지된 상태입니다.
2025.04.02 - [트렌드 정복기] - Sora 영상 생성, 왜 신규 유저는 못 쓰게 됐을까? (ChatGPT 지브리스타일 이미지)
Sora 영상 생성, 왜 신규 유저는 못 쓰게 됐을까? (ChatGPT 지브리스타일 이미지)
Sora 영상 생성, 왜 신규 유저는 못 쓰게 됐을까? (ChatGPT 지브리스타일 이미지)AI 영상의 시대가 열렸지만, 누구나 영상 생성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건 아니에요. OpenAI가 내린 ‘제한 조치’는 단
nobe-moon.tistory.com
2. ChatGPT 이미지 생성, 핵심만 다시 체크!
Chat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DALL·E 모델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프롬프트 기반의 정적 이미지 생성은 물론, 최근에는 인페인팅(inpainting) 기능도 지원되어 특정 이미지 영역을 수정하거나 덧그리는 작업도 가능해졌죠.
특히 Pro 요금제에서는 GPT-4 Turbo 모델과 함께 이미지 생성 버튼이 UI에 통합되어 있어, 대화형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사용자는 '질문 → 그림 생성 → 수정'까지 한 화면에서 처리할 수 있어요.
3. Sora와 ChatGPT, 이미지 생성의 결정적 차이점
사실 둘 다 '이미지 생성'이 된다고 하니까 비슷해 보일 수 있어요.
근데 막상 써보면... 결이 확실히 다릅니다.
그 차이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무엇을 중심으로 상상하느냐’의 차이예요.
1. 상상력의 단위가 다르다
ChatGPT(DALL·E)는 ‘한 장의 이미지’를 잘 뽑아내는 데 집중돼 있어요.
"파란색 셔츠를 입은 소년이 강아지와 뛰어노는 모습"처럼, 지금 이 순간의 장면을 묘사하는 데 최적화돼 있죠.
프롬프트도 간결하고 직관적이에요. 그림책 한 장면 고르는 느낌이랄까?
반면 Sora는 영상 AI지만, 그 기반 기술로 정적인 이미지도 생성할 수 있어요.
그런데 이 이미지가 그냥 '예쁜 그림'에 그치지 않습니다.
Sora가 만들어내는 한 장의 이미지는 마치 영상의 한 프레임처럼, '이후에 어떤 장면이 나올지'를 암시하는 에너지가 있어요.
이게 진짜 묘합니다. 같은 '정지 이미지'인데도 움직임을 품고 있는 듯한 느낌이 있거든요.
2. 생성 방식과 인터페이스가 다르다
ChatGPT는 대화형이에요.
"좀 더 따뜻한 색감으로 바꿔줘", "이 배경을 숲으로 바꿔볼 수 있을까?" 같은 식으로, 질문하고 수정하고, 실시간 피드백 받는 구조죠.
그래서 비전공자에게 특히 편해요. 마치 디자이너랑 실시간으로 같이 작업하는 기분.
Sora는 여전히 프롬프트 기반 생성에 가깝고, 뭔가 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느낌이에요.
"시간대는 석양, 도시의 교차로, 약간의 안개, 붉은 계열의 조명 강조"
이런 식으로 정교하게 서술하면, Sora는 그걸 몽환적이고 영상적인 분위기로 해석해서 이미지로 뿜어내죠.
즉, Sora는 장면 전체의 무드와 스토리텔링에 강하고,
ChatGPT는 오브젝트 중심의 구체적인 요청과 수정이 강해요.
3. 사용 가능성: 이제는 둘 다 가능하다
예전에는 Sora가 비공개라 접근이 어려웠지만,
지금은 ChatGPT Plus(유료 요금제) 사용자면 Sora의 이미지 생성 기능도 체험할 수 있어요.
물론 모든 기능이 다 풀린 건 아니고, 순차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중이지만요.
결국 접근성 면에서도 둘 다 고급 사용자에게 열려 있고,
이제는 "어느 쪽이 더 쉬운가"보다는 "어떤 스타일을 원하는가"가 선택 기준이 되는 셈입니다.
4. 활용 사례로 보는 Sora vs ChatGPT
"아메리칸 싸이코에 출연한 크리스찬 베일이 재봉기 위에서 파스타를 먹는다"
자, 같은 프롬프트로 만들어진 아래 두 장의 사진을 봐주세요.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첫번째 힌트, 화면 비율입니다.
다음 힌트, 스토리텔링과 / 오브젝트 중심
눈치채셨나요?
sora의 경우 영상기반 AI 이기 때문에 가로가 긴 비율로, chatGPT는 요청된 이미지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정방형으로 생성되었죠!
또한 sora는 다음에 이어질 장면이 상상되는 듯한 역동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고, chatGPT는 정말 프롬프트 그대로를 구현하는데 좀 더 집중한 모습이죠?
좀 더 긴 프롬프트가 입력된다면, 그 차이는 더 확연해질 것 같아요.
📌 문노베의 정리
ChatGPT는 ‘요청하면 바로 피드백 주는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 같은 느낌이고,
Sora는 ‘한 컷으로 시나리오를 말해주는 영화 감독’ 같은 느낌이에요.
정적인 이미지지만, 내러티브를 품고 있는 그림을 원한다면 Sora.
빠르게 만들고 수정하고 응용하고 싶다면 ChatGPT.
둘 다 훌륭하지만,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거에요.
5. 이미지 생성 AI의 한계점, 꼭 짚고 가자!
두 툴 모두 놀라운 결과물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한계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상업적 활용이나 기술적 제약 면에서요. 문노베가 보기에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아요.
- 1. 저작권 문제 – 생성된 이미지나 영상이 상업적으로 자유로운지 아직 논란이 존재
- 2. 현실 왜곡 – AI가 만들어낸 콘텐츠가 실제 사실처럼 보일 수 있어 오용 위험
- 3. 연출 제약 – 원하는 디테일을 정확히 구현하려면 프롬프트에 고급 기술 요구
- 4. 접근성 – Sora는 아직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음
문노베의 질문 🤔
오늘은 ChatGPT와 Sora, 두 이미지 생성 AI의 차이점을 살펴봤어요.
같은 OpenAI가 만든 도구들이지만, 목적과 기능은 확연히 다르다는 걸 느끼셨을 겁니다.
앞으로는 어떤 툴을 쓸지 고민할 때, ‘내가 만들고 싶은 결과물은 영상인가, 이미지인가?’부터 떠올려 보세요.
2025.03.28 - [AI 정복기/글로벌 AI 뉴스] - AI 이미지 전쟁의 민낯 – 속도, 자원, 그리고 윤리의 충돌 (지브리스타일, 챗지피티, Extropic)
AI 이미지 전쟁의 민낯 – 속도, 자원, 그리고 윤리의 충돌 (지브리스타일, 챗지피티, Extropic)
AI 이미지 전쟁의 민낯 – 속도, 자원, 그리고 윤리의 충돌 (지브리스타일, 챗지피티, Extropic)“그림 하나에 GPU가 몰리고, 작가들은 AI가 스타일을 훔쳤다며 분노합니다.” 지금 우리는 AI 이미지
nobe-mo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