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정복기

CB인사이트 선정 글로벌 AI 기업 100 해부 – 한국 AI 기업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글로벌 무대에서 살아남는 법 (트웰브랩스, 업스테이지, 노타AI, 디노티시아)

문노베 2025. 5. 3.

CB인사이트 선정 글로벌 AI 기업 100 해부 – 한국 AI 기업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글로벌 무대에서 살아남는 법 (트웰브랩스, 업스테이지, 노타AI, 디노티시아)

2025년 CB Insights AI 100 리스트에서 한국 기업은 총 4곳. 숫자로는 적지만, 이들이 보여주는 전략은 앞으로의 방향성을 시사합니다.

 

CB인사이트 선정 AI 100 해부 – 한국 AI 기업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글로벌 무대에서 살아남는 법 ( 트웰브랩스, 업스테이지, 노타AI, 디노티시아)

 

CB Insights AI 100은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AI 스타트업 명단 중 하나로, 기술력뿐 아니라 확장성, 시장성, 수익화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2025년 리스트에는 Twelve Labs, Upstage, Nota AI, 디노티시아(Dinoticia)까지 총 4개의 한국 기업이 포함되어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05.01 - [트렌드 정복기] - CB인사이트 선정 100대 글로벌 AI 기업 리스트, 2024 vs 2025 전격 비교 – 1년 만에 모든 것이 바뀌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이 4개 기업이 어떤 기술과 전략으로 글로벌 리스트에 선정되었는지, 그리고 한국 AI 스타트업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분석합니다.

 

단순한 응원이나 국뽕 콘텐츠가 아닌, “글로벌이 선택한 한국 기업은 무엇이 달랐는가?”에 대한 분석입니다.

1. 2025년 리스트에 포함된 한국 기업 4곳

CB Insights는 매년 전 세계 수천 개의 AI 기업을 분석하여, 가장 혁신적이고 유망한 100곳을 발표합니다.

 

2025년 리스트에는 한국 기업 4곳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서 기술과 전략을 증명한 사례로, ‘국가별 안배’가 아니라 철저한 시장 기반의 경쟁 평가에서 살아남은 결과입니다.

기업명 주요 분야 특징
Twelve Labs 멀티모달 비디오 이해 2년 연속 선정, 글로벌 VC로부터 다수 투자 유치
Upstage Document AI / LLM 자체 LLM ‘Solar’, OCR·검색 엔진 특화 기술 보유
Nota AI AI 모델 경량화 / 최적화 엣지 디바이스 AI 최적화 플랫폼 ‘NetsPresso’ 운영
디노티시아 AI 기반 보도자료 자동화 언론·홍보 영역 특화 생성 AI, 틈새 전략 성공 사례

4곳 모두 산업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면서, 기술뿐 아니라 구체적인 활용처와 확장 전략을 보여주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CB Insights 선정 2024년 글로벌 AI TOP100
CB Insights 선정 2025년 글로벌 AI TOP100

2. 선정된 이유는 기술력만이 아니었다

CB Insights는 AI 100 선정 기준으로 기술력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반영합니다:

  • 시장 진입 전략과 글로벌 고객 기반
  • Mosaic Score (특허, 인재, 성장률, 투자유치 등)
  • 파트너 생태계, 확장 가능한 수익 모델 보유 여부

Twelve Labs는 투자자와 커뮤니티 기반에서 오픈한 개발자 도구,

 

Upstage는 자체 LLM과 생산성 솔루션의 수직 통합,

 

Nota AI는 엣지 AI라는 글로벌 수요에 맞춘 플랫폼 전략,

 

디노티시아는 특화 도메인에서의 실사용 성공 사례가 강점으로 평가되었습니다.

 

2025.05.01 - [트렌드 정복기] - CB인사이트 선정 AI 100 리스트 해부 – 산업의 판이 바뀌고 있다: 뜨는 기술 vs 사라지는 카테고리 (Agent Stack, Workflow AI, Evaluation Infra)

 

3.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무대에 들기 위한 3가지 조건

이번 리스트에 포함된 한국 기업들의 전략을 종합하면, CB Insights 리스트에 진입하기 위한 공통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국제적 기준의 제품화 역량: 단순 기술이 아닌 실제 사용처와 고객사 확보
  2. 글로벌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영어 중심의 오픈 커뮤니티, 글로벌 고객 응대 역량
  3. VC 네트워크 연결력: 미국·유럽 중심의 벤처캐피털 및 엑셀러레이터와의 전략적 연계

결국 ‘기술력’ 그 자체보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구조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됩니다.

4. 우리가 잘하고 있는 것과 아직 부족한 점

한국 AI 스타트업이 글로벌 무대에서 보여준 저력은 분명합니다.

 

특히 멀티모달 AI, 경량화 기술, 엔터프라이즈 검색 분야에서는 기술력과 시장 수요의 접점을 명확히 증명한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리스트에 선정된 기업 수가 4곳에 그쳤다는 사실은 여전히 구조적 한계가 존재함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강점 과제
특화된 기술력 (영상, 경량화, OCR 등) 글로벌 시장을 전제로 한 초기 전략 부족
국내외 VC의 적극적 투자 유치 능력 오픈 커뮤니티·기술 문서의 영어화 비율 낮음
국내 대기업과의 PoC 및 초기 레퍼런스 확보 기술의 '제품화(PM)' 및 GTM 전략 미흡

CB Insights가 주목하는 기업들은 단순한 기술 구현보다 “전 세계 시장에 통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제품”을 갖추고 있습니다.

 

즉, 한국의 AI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어떻게 고객에게 도달할 것인가”에 대한 설계가 없다면 리스트 진입은 어려운 현실입니다.

5. 요약: 한국 AI, 기회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 ① 2025년 리스트에 4개 한국 기업 선정 – 기술 다양성과 수요 맞춤 전략 입증
  • ② 선정의 기준은 기술력 그 이상 – 시장 전략,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수익화 가능성
  • ③ 제품화·GTM 전략, 오픈 커뮤니케이션 등은 여전히 과제
  • ④ 한국 AI의 강점은 분명하나, 더 넓은 무대를 겨냥한 구조 설계 필요

CB Insights 리스트는 단순히 ‘잘 나가는 기업’을 나열한 것이 아닙니다.

 

글로벌 시장이 지금 어떤 역량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한국 기업은 그 문턱을 넘기 시작했으며,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성장의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궁금증은 여기서 풀고 가세요 🔍

Q1. CB Insights 리스트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어떤 과정을 거쳐 선정되었나요?

기술력 외에도 투자 유치, 시장 진입 전략, 글로벌 파트너십, 커뮤니티 참여도 등 다양한 요소가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Mosaic Score라는 자체 지표로 기업의 성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수치화해 비교 분석합니다.

Q2.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글로벌 AI 시장은 기본적으로 영어 기반의 커뮤니티와 투자자 네트워크로 작동합니다. 기술 문서, GitHub 활동, 프레젠테이션, 파트너십 커뮤니케이션 모두 영어로 이뤄지기 때문에, 내부 기술력만큼 외부 전달력도 중요합니다.

Q3. 제품화(PM)와 GTM 전략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나요?

제품화(Productization)는 기술을 실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며, GTM(Go-To-Market)은 시장 진입을 위한 실행 전략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누가, 어디서, 어떻게 쓸지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Q4. 한국 AI 스타트업이 앞으로 더 많이 리스트에 포함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요?

기술 특화 외에도 초기부터 글로벌을 전제로 한 설계, 오픈 커뮤니티 중심의 활동, 실사용 중심의 제품 구조, 그리고 무엇보다 수익화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합니다. 결국 ‘기술 + 언어 + 구조’라는 3박자가 중요합니다.

Q5. CB Insights 리스트는 국내 기업에게 어떤 실질적 기회를 줄 수 있나요?

글로벌 VC의 관심 유입, 해외 파트너십 구축, 채용 경쟁력 강화 등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됩니다. 또한 상위 리스트 진입은 정부/기관의 R&D 평가와도 연동되어 전략적 활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